본문 바로가기
  • Investment & Life

유동성2

채권금리 폭등으로 위기감 증폭 한국시간 기준 2025년 4월 9일, 채권금리가 폭등하고 있습니다.현재 분위기는 대규모 폭탄이 터지기 직전의 상태와도 같습니다. 많은 금융가 트레이더들과 분석가들이 상당히 긴장하고 있습니다.베이시스 트레이드라고 불리는 국채 트레이드가 붕괴되기 직전이라는 언급이 많습니다.현재 미국과 중국이 관세로 인한 극한 대립상황이어서, 중국이 미국 채권을 내다 팔고 있어서 이러한 문제가 촉발되었다는 루머는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 미 국채를 팔고 있다는 구체적인 증거는 아직 없습니다.투자자들이 국채를 너도나도 팔고 있어서 미 국채금리가 폭등하고 있습니다. 한번, 발생한 위기감은 폭발적으로 번저나가서 모든 기관들이 국채를 던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매도를 받아줄 유동성은 말라버린 상황입니다.이번 주에 미 국채의 입.. 2025. 4. 9.
유럽 유동성 문제 그리고 글로벌 금융프레임 변화 급박한 상황들이 지속적으로 나오면서 미국, 유럽의 중앙은행과 정부의 금융기관들은 상당히 예민한 날들을 보내고 있다.유럽 은행들의 유동성 문제가 조금씩 나오면서 유럽중앙은행이 개입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유럽중앙은행(ECB)는 Euro Funding Market의 유동성이 급격하고 고갈된 상황을 모니터 하면서 급박하게 대처하고 있다.현재 미국의 유럽은행 브랜치에서 보유중인 달러는 유럽으로 유입 되면서(미국 연준이 이를 허용), 동시에 Eurodollar interbank funds 와 금은 미국으로 유입되고 있다.미국은 확실하게 상당히 오랜시간 동안 비효율적으로 관리되어 온 국가이다.지난 코로나 발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미국 FED가 찍어낸 돈의 양은 천문학적 수준이다. 최대 $4.2T 가량 돈을 찍어내서 .. 2025. 3. 20.